1. MySQL을 설치하고, cmd 창을 실행한다
2. 원하는 DB 명 만들기
CREATE DATABASE `새DB명`;
3. 만든 데이터베이스 사용 선언
USE '새DB명';
4. sql문을 사용하여 회원가입 정보를 저장할 user 테이블 생성하
CREATE TABLE users (
id INT(11) NOT NULL AUTO_INCREMENT,
username VARCHAR(50) NOT NULL,
password VARCHAR(255) NOT NULL,
name VARCHAR(50) NOT NULL,
birthdate DATE NOT NULL,
PRIMARY KEY (id),
UNIQUE KEY (username)
);
- id: 유저 ID (자동 증가)
- username: 아이디 (중복 불가)
- password: 비밀번호
- name: 이름
- birthdate: 생년월일
5. 테이블 생성 후 테이블이 정상적으로 생성 되었는지 확인
DESC users;
6.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기 위한 설정
'application.properties' 파일에 다음 db 연결 정보 작성
spring.datasource.driver-class-name=com.mysql.cj.jdbc.Driver
spring.datasource.url=jdbc:mysql://localhost:'내IP주소'/'내가정한 db 명'?useSSL=false&serverTimezone=UTC&allowPublicKeyRetrieval=true
spring.datasource.username=사용자이름
spring.datasource.password=비밀번호
위의 설정에서 spring.datasource.url 부분에서 localhost는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된 컴퓨터의 IP 주소로 변경해야 한다.
> window : cmd 창에서 'ipconfig' 명령어 입력 후 "IPv4" 주소가 컴퓨터의 IP주소이다.
> Mac & Linux : 터미널에서 'ifconfig' or 'ip addr' 명령어를 입력하면 IP주소 확인 가능
useSSL=false는 SSL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
'Framework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기 #1 (0) | 2023.05.22 |
---|---|
[Spring] 파라미터 접근법, 화면 연결 형태 (0) | 2023.05.16 |
[Spring Boot] 패키지 구조 및 정리 (0) | 2023.05.15 |
[Spring Boot] 홈페이지 만들기 1 (0) | 2023.05.12 |
[Spring] 이클립스 스프링 실행 오류 (0) | 2023.05.12 |